(철학자 임마누엘 칸트의 3비판서-순수이성비판,실천이성비판,판단려비판-중 제3비판이라 불리는 [판단력비판]을 읽고 요약한 것이다. 강독 강의 중 제출한 내용을 편집하여 옮겼다.)
※ 우선 [판단력비판]에 대한 설명은 다음 위키백과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 http://ko.wikipedia.org/wiki/판단력비판
※ 김상현 역(2005)를 중심으로 백종현 역(2009)과 영문판 Werner.S 역(1987)을 참조하였다.
▼ 칸트의 서명
칸트, [판단력 비판]
제1절. 감성적인 판단력의 분석학
제1장. 미의 분석론
취미판단의 제3계기: 취미판단에서 고찰되는 목적의 관계
<전체 요약>
선의 판단과 달리, 미적 판단은 그 대상이 충족시키고자 하는 결과나 목적purpose을 미리 가정하지 않는다(이 것은 그 판단의 보편성universality이 개념에 기초하지 않고 있다는 점과 관련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적 판단은 칸트가 “합목적성purposiveness”이라고 부른 표상representarion을 수반한다. 왜냐하면 이 합목적성의 표상은 목적의 원인을 수반하지 않기 때문이다. 칸트는 그 표상된 그 합목적성을 “단지 형식적 합목적성” 또는 “합목적성의 형식”이라고 부른다. 그는 합목적성이 대상 자체에 대해, 그리고 상상력과 지성이 대상과 관계맺으며 일어나는 작동으로부터 느껴지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스탠포드 철학사전(http://plato.stanford.edu/entries/kant-aesthetics)의 일부를 번역하였다.(이하 원문)
Third Moment (§§10–17)
Unlike judgments of the good, judgments of the beautiful do not presuppose an end or purpose [Zweck] which the object is taken to satisfy.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point that their universality is not based on concepts). However, they nonetheless involve the representation of what Kant calls “purposiveness” [Zweckmässigkeit]. Because this representation of purposiveness does not involve the ascription of an purpose, Kant calls the purposiveness which is represented “merely formal purposiveness” or “the form of purposiveness.” He describes it as
perceived both in the object itself and in the activity of imagination and understanding in their engagement with the object. (For more on this activity, see the discussion of the “free play of the faculties” in Section 2.2; for more on the notion of purposiveness, see Section 3.1.) The Third Moment, in particular §14, is the main evidence for Kant's supposed formalism in aesthetics; for more on Kant's formalism, see Section 2.4.
<해설 요약. P136>
- 일반적으로 합목적성이란 전체의 특성이다.
- 전체Komposition: 모든 부분들이 전체를 반영하고 또한 각각 다른 부분들을 반영하면서 현존하는 하나의 형상
- 감성적 합목적성의 구분
- 주관적 측면
- 인식 능력들(상상력과 지성) 간의 자유로운 유희와 일치
- 관조의 상태에 들어가 반성적 자유가 가능하게 된다.
- 생명감의 고양: 자기반성에서만 비롯 => 미와 예술을 통해 마음을 도야하고 세련된 문화 지향.
- 객관적 측면
- 형식적 합목적성: 대상들의 표상에서 발견되는 부분들과 전체의 조화
- 감관의 통일: 합목적적인 형식은 인식 능력들의 유희와 조화에 의해서만 판정될 수 있다.
- 부분들이 자유롭게 합쳐져서 통일을 이루는것과 같은 외관을 제시하는 것.
- 감성적 합목적성은 감성적 주체와 그 주체가 경험하는 세계와의 목적 없는 자유로운 일치로 규정된다. 이는 객체에 투사된 주체의 자기 경험임과 동시에 주체에 투사된 객체의 (또 다른 방식의) 드러남이다.
※ 김상현 역(2005) 136쪽의 해설 부분을 요약하였다.
10. 합목적성 일반에 관하여
목적이란 “어떤 개념이 대상의 원인으로 간주되는 한에서의 그 개념의 대상”이다. 합목적성이란 “개념이 그 대상에 관해서 가지는 인과성”이다. 대상 그 자체가 결과로 생각되는 경우, 즉 결과의 개념을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경우, 하나의 목적을 생각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결과’라는 표상은 원인을 규정하는 근거이며, 원인에 선행한다. 이 경우 주관의 상태와 결부된 표상의 인과성에 대한 의식을 곧 쾌라고 부른다.
어떤 대상이나 마음 상태, 어떤 행위의 가능성이 목적의 표상 없이도, 단지 목적에 의한 인과성만을 근거로 합목적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형식’의 가능성으로부터 합목적성은 목적 없이도 성립할 수 있다. 합목적성이 목적에 근거하지 않더라도, 적어도 그 형식에 관해서는 합목적성을 관찰할 수 있으며, 이는 반성적 판단을 통한다.
(설명)
- 칸트는 목적과 합목적성을 구분한다.
- 특정한 목적, 욕구, 의지 없이 미적판단이 가능한 것을 ‘목적 없는 합목적성’이라고 한다. 이는 대상의 형식만 보고 판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
- (합목적성에는 목적이 전제되고, 목적에는 욕구나 의도가 전제된다. 따라서 ‘목적 없는 합목적성’이라는 말은 원래 성립할 수 없다.).
- 예) 아름다운 꼿
- ‘아름다운 모양’이라고 만들어진 것처럼 아름답지만, 그런 ‘의도’를 가지고 만들어진 것은 아니다.
- 목적 없는 합목적성: 합목적성으로부터 욕구를 배제하고자 함.
- 감각적 욕구(쾌적 추구), 이성적 욕구(선 추구)를 배제함(이미 ‘무관심성’을 거론하며 배제한 바 있음). 즉, 쾌적과 선을 미로부터 배제하고자 목적 없는 합목적성을 이야기한 것임.
11. 취미판단은 대상의 (또는 대상을 표상하는 방식의) 합목적성의 형식에만 근거한다.
목적을 만족의 근거라고 본다면, 모든 목적은 항상 쾌감의 대상에 관한 판단을 규정하는 근거로 관심을 수반한다. 그러므로 어떠한 주관적 목적도 취미판단의 근거가 될 수 없다. 객관적 목적의 표상도, 선의 개념도 취미판단을 규정하지 못한다.
어떤 대상을 아름다운 대상이라고 규정할 때 나타나는 이러한 관계는 쾌의 감정과 결합되어 있으며, 취미판단은 이 쾌가 동시에 모든 사람들에 대해 타당하다고 천명하는 것이다. 쾌적을 수반하는 표상이나 대상의 완전성에 관한 표상 그리고 선의 개념은 취미판단을 규정하는 근거를 포함할 수 없다. 그러므로 아무런 목적 없이 대상을 표상할 때의 주관적 합목적성만이, 따라서 우리에게 대상을 주는 표상에서 나타나는 합목적성의 순전한 형식만이 개념 없이 보편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고 판정되는 만족을, 즉 취미판단을 규정하는 근거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설명)
- 형식적 합목적성: “대상의 성질을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대상과 관계하는 표상 능력이 대상을 규정할 때의 합목적적인 형식만을 알려줄 뿐”(KU. 47)
- 대상의 내용을 채워주는 대상의 성질, 즉 질료를 배제
- 감각적 자극, 도덕적 자극은 취미판단 불가.
12. 취미판단은 선험적 근거에 기초하고 있다.
결과로서의 쾌-불쾌의 감정은 경험 자체를 매개함으로써만 인식될 수 있는 인과관계로서 후천적이다. 존경의 감정은 보편적 도덕 개념으로부터 선험적으로 도출된다. 거기에서 초감성적 특성에 근거하는 인과성, 즉 자유의 인과성을 끌어올 수 있었다.
감성적 판단에서는 단지 관조적이어서 대상에 대한 관심을 유발하지 않는다. 임의의 표상에 있어서 주관의 인식 능력들이 유희함으로써 성립하는 순전히 형식적인 합목적성에 대한 의식이 바로 그 자체로 쾌다. 감성적 판단에는 주관의 인식 능력들에 활력을 준다는 점에서 주관의 활동을 규정하는 근거, 즉 인식 일반에 관해 성립하는 주관적 합목적성의 순전한 형식이 내포되어 있다. 이 쾌는 표상 자체에 대한 마음의 상태와 인식 능력들의 활동을 더 이상 아무런 의도 없이 유지시키는 인과성을 내포한다. 아름다운 것을 관조할 때 몰입하게 되는데, 이는 이러한 관조가 관조 그 자체를 강화하고 재생시키기 때문이다.
(설명)
- 자연과 자유
- 자연: 자연적인 원리에 따르는 행위(자연에 종속된). 인간의 신체가 해당
- 자유: 행위의 자발성. 인간의 도덕성은 자유롭다(인과의 자발성).
- 취미판단의 만족감을 일으키는 본질이 경험에서 오는 것이 아니다. 선험적인 것이 가능하다.
- 상상력과 지성을 통해 쾌를 느끼고, 그 쾌가 몰입을 통해 미적 대상을 다시 주목하게 함으로써 그 쾌가 다시 작용한다.
- “판단력은 이 원리에 의해서 자연에 대해서가 아니라, 자연을 반성하기 위하여 자기 자신에 대해서(자기자율로서) 하나의 법칙을 지정”할 뿐이며, 따라서 “자연의 합목적성은 단지 반성적 판단력에만 그 근원을 가지고 있는 하나의 특수한 선험적 개념”일 뿐이다.
13. 순수한 취미판단은 자극이나 감동과는 무관하다.
모든 관심은 취미판단을 변질시키고 공정성을 잃게 한다. 자극되어 내려진 판단은 보편타당한 만족을 전혀 요구할 수 없거나 적게 요구할 수밖에 없다. 때로는 만족의 질료에 불과한 자극이 만족의 형식이라고 주장되기도 한다. 단지 형식의 합목적성만을 규정 근거로 갖는 취미판단이 곧 순수한 취미판단이다.
(설명)
- 자극과 감동은 사실 특정한 관심과 결합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특별한 경향성에 빠질 수 있다.
14. 실례를 통한 설명
감성적 판단은 경험적 판단과 순수한 판단으로 구분한다. 순수한 판단만이 형식적 감성적 판단으로서 본래의 취미판단이다. 그러므로 순전히 경험적일 뿐인 만족이 취미판단을 규정하는 근거와 전혀 섞이지 않는 한에서만 취미판단은 순수하다.
자극은 미의 필수적 구성요소이며, 그 자체만으로도 아름답다는 주장이 있다. 그러나 색이나 음색에 대한 감각은 ‘순수한’ 한에서만 아름답다고 간주될 자격이 있다. 단순한 종류의 감각에 있어서 순수함이란 그 감각방식이 한결같아서 다른 어떤 종류의 감각에 의해서도 방해받거나 중단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순수성은 단지 형식에만 속한다.
모든 조형예술에 있어서 그것이 미적 예술인 한, 본질적인 것은 도안이다. 도안에 있어서 취미에 맞는 모든 구도의 근거를 형성하는 것은 감각에 즐거움을 주는 것이 아니라 단지 형식을 통해 만족을 주는 것이다.
감관의 대상들의 모든 형식은 형태이거나 유희다. 유희는 형태의 유희이거나 감각의 유희이다. 순수한 취미판단의 고유한 대상이 되는 것은 형태의 유희에 있어서는 도안이며, 감각의 유희에 있어서는 합성이다.
순수한 취미판단은 어떠한 자극이나 감동, 즉 감성적 판단의 질료로서의 어떠한 감각도 그 규정 근거로 갖지 않는다.
(설명)
- 순수한 취미판단은 자극이나 감동으로부터 독립적이다.
- 자극: 감각기관을 통해서 들어오는 것.
- 감동: 생명력이 꺼져가다가 갑자기 살아날 때 느끼는 것.
- 감성적 판단 구분
- 경험적 판단: 감관판단(실질적 감성적 판단)
- 순수한 판단: 취미판단(형식적 감성적 판단)
- -> 경험주의 미학자들(Hume, Burke)의 견해 반박
- 감관의 다양한 통일: 합목적적인 형식은 인식 능력들(상상력과 지성)의 유희와 조화에 의해서만 판정될 수 있다.
15. 취미판단은 완전성의 개념과는 무관하다.
객관적 합목적성은 개념을 통해서만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미에 대한 판정은 단지 형식적인 합목적성(목적없는 합목적성)에 근거할 뿐, 선이라는 표상과는 완전히 독립적이다. 선은 객관적 합목적성, 즉 대상이 일정한 목적과 맺는 관계를 전제하기 때문이다.
객관적 합목적성은 외적 합목적성(대상의 유용성)이거나, 내적 합목적성(완전성)이다. 이 중 유용성의 표상은 미가 될 수 없다. 대상에 대한 직접적 만족이야말로 미에 관한 판단의 본질적 조건이기 때문이다. 반면 완전성은 ‘아름다움’이라는 술어에 좀더 가까워 보이므로, 미가 과연 완전성의 개념으로 환원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는 해명이 필요하다.
객관적 합목적성을 판정하기 위해서는 ‘목적’의 개념이 반드시 필요하다. 내적 합목적성의 경우 ‘내적 목적’이라는 개념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어떤 사물에서 객관적 합목적성을 표상하려면, ‘그것은 어떤 종류의 사물이어야 하는가’하는 그 사물의 개념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 사물을 이루고 있는 다양한 것들이 이러한 개념에 합치한다면, 그 사물은 질적으로 완전하다고 이야기한다.
취미판단은 감성적 판단, 즉 주관적 근거에 기인하는 판단이므로 이 판단을 규정하는 근거는 개념일 수 없고, 따라서 일정한 목적의 개념일 수 없다. 형식적-주관적 합목적성으로서의 미를 통해서는, 명목상으로는 형식적 합목적성이지만 사실상 객관적 합목적성인 대상의 완전성은 결코 사유되지 않는다.
감성적 판단은 대상에 관한 어떠한 인식도(혼란한 인식조차도) 결코 제공하지 않는다. 감성적 판단은 대상과 관계하는 표상 능력들이 대상을 규정할 때의 합목적적 형식만을 알려줄 뿐이다. 이 판단을 규정하는 근거는 개념이 아니라 감정이며, 감정은 심적 능력들이 유희할 때 이 능력들이 일치했다는 감정을 말한다. 반면 개념의 능력은 지성이다. 취미판단에서 지성은 판단과 대상의 표상을 (개념 없이) 이 표상이 주관과 주관의 내적 감정과 맺는 관계에 따라 규정하는 능력으로서 필요할 뿐이다(상상력과 지성의 유희).
(설명)
- 합목적성의 구조
- 주관적 합목적성: 감성적 판단력과 관련. 뇌가 느끼는 것.
- 형식적 합목적성
- 실질적 합목적성: 질료(내용)을 통하는 것.
- 객관적 합목적성: 대상 자체에 어떤 성격이 있는 것.
- 형식적 합목적성: 기하학적인 것 안에서 찾아낼 수 있는 형식
- 실질적 합목적성
- 내적 합목적성: 완전성. 생명체가 지니고 있는 자체의 목적.
- 질적 완전성: 관계가 목적에 기여하는가.
- 양적 완전성: 목적 성취에 필요한 양적 가능성.
- 외적 합목적성: 유용성
- 인간에 대한 유용성
- 유기체에 대한 유익성
- 형식적 합목적성: 대상들의 표상에서 발견되는 부분들과 전체의 조화.
- -> 대상을 채워주는 대상의 성질, 즉 질료를 배제한다.
- 취미판단은 완전성의 개념과는 무관하다.
- -> 완전성: 특정한 목적이 끼어드는 것이니, 응용된 취미판단이다. 상상력과 지성이 자유롭게 유희한 결과로 느끼는 쾌감은 아니다.
- 미는 형식적-주관적 합목적성
- 감성적 판단은 어떠한 인식도 제공하지 않는다.
- 미는 완전성의 혼란한 표상도 아님.
- 개념과는 무관. 개념의 능력은 지성.
- -> 이성주의 미학자들(바움가르텐, 멘델스존)의 주장 반박
16. 대상에 대해 특정한 개념의 조건에 따라 아름답다고 언명하는 취미판단은 순수하지 않다.
미는 두 종류, 즉 자유미pulchritudo vega와 종속미pulchritudi가 있다. 자유미는 개념을 전제하지 않는 자체로 존립하는 미를 말하며, 종속미는 개념에 따른 대상의 완전성을 전제하는 개념에 종속되는 미이다.
자연에서 꽃이나 새는 그 자체로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는 대상을 판단할 때 판단의 근거에는 어떠한 종류의 완전성이나 다양한 것의 결합과 관련된 내적 합목적성도 놓여 있지 않다. 자유미를 판정한다면, 그 취미판단은 순수하다. 그러나 인간의 미, 말의 미, 건축물의 미는 그 사물이 무엇이어야 하는가를 규정하는 목적의 개념을, 즉 사물의 완전성이라는 개념을 전제하며, 이것들은 종속미이다.
(설명)
- 개념-목적으로부터 자유로운 아름다움이야말로 진정한 아름다움이다.
- 종속미는 대상이 무엇이어야 하는가 하는 일정한 개념을 전제하므로 거기에는 완전성 개념이 개입된다(완전성 개념을 미학의 영역에서 추방하지는 않은 것).
17. 미의 이상에 관하여
취미의 최고의 전형, 즉 그 원형은 순전한 이념에 불과하다(범례적 사례와 혼동하면 안된다). 이념이란 엄밀히 말하자면 이성 개념을 의미하며, 이상이란 이념에 적합한 개별적 존재자의 표상을 의미한다. 우리는 취미의 원형을 개념을 통해 표상할 수는 없고, 다만 개별적으로 현시할 때만 표상할 수 있을 뿐이므로, 취미의 원형을 미의 이상이라 부르는 편이 적절할 것이다. 그리고 그 이상을 우리 내부에서 만들어내려고 노력한다. 이것은 단지 상상력의 이념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미의 이상은 객관적 합목적성이라는 개념을 통해 확정된 것이어야 하고, 그 미는 (순수한 취미판단이 아니라) 지성화된 취미판단의 대상에 속하는 것에 틀림 없다. 이상의 근거에는 일정한 개념에 따른 그 어떤 이성이념이, 즉 대상의 내적 가능성을 근거 짓는 목적을 선험적으로 규정하는 이성이념이 놓여 있어야 한다. 이성을 통해 자신의 목적을 스스로 규정할 수 있는 인간만이 미의 이상일 수 있다. 지적 존재자로서 그의 인격 가운데 있는 인간성만이 유일하게 완전성의 이상일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다.
표준이념은 특수한 동물의 일종으로서 판정할 경우의 기준으로서 상상력의 개별적 직관이다. 이성이념은 인간성이라는 목적을 인간의 형태를 판정하기 위한 원리이다. 표준이념은 상상력을 통해 모든 형상에 공통적인 척도가 되는 하나의 평균적인 것을 이끌어낼 수도 있다. 그러나 표준이념은 경험에서 유래한 규정된 규칙으로서의 비례로부터 도출되는 것이 아니다. 표준이념은 미의 완전한 원형이 결코 아니며, 유를 현시함에 있어서의 적정성에 지나지 않는다.
미의 표준이념과 미의 이상은 구별된다. 인간의 형태에 있어서 이상은 이제 도덕적인 것의 표현으로 등장한다. 도덕적 이념은 우리 이성이 최고의 합목적성의 이념인 도덕적 선과 결부시키는 모든 것과 결합되어 있다. 즉 자비심, 진실성, 강직함, 평정심 등은 도덕적 이념과 결합되어 있다.
(설명)
- 이상: 이념의 감각적 표상
- 종속미: 대상이 무엇이어야 하는가 하는 일정한 개념을 전제(완전성 개념 개입-이상)
- 인간의 궁극목적은 도덕적 완전성: 종속미를 갖고 있다.
- 인간의 인격만이 이성이념을 구현한다.
- -> 인격이 외양으로 드러난다면 미의 이상(종속미)이라고 볼 수 있다.
제3계기에서 도출되는 미에 대한 해명
미는, 대상에서 합목적성이 목적을 표상하지 않고도 지각되는 한에서, 그 대상의 합목적성의 형식이다.
(계속될 것이다.)
2014.09.28.(일)
'Review > 철학&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칸트, 판단력비판 요약(취미판단의 제4계기) (0) | 2014.10.12 |
---|---|
[책] 지식도둑의 책수집 (2) | 2014.10.01 |
칸트, 판단력비판 요약(취미판단의 제2계기) (0) | 2014.09.28 |
칸트, 판단력비판 요약(취미판단의 제1계기) (0) | 2014.09.22 |
[책] '가르칠 수 있는 용기’를 읽고 (4) | 2014.04.16 |